본문으로 바로가기
카카오 프린트

보도자료 배포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 국내 단일 기관 최초 반월 연골판 이식술 후 기능 회복 과정 규명

파일 파일이 없습니다.
등록일 2025-03-10 조회수 184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국내 단일 기관 최초

반월 연골판 이식술 후 기능 회복 과정 규명

환자 개개인의 기능적 회복 속도에 맞춘 맞춤형 재활프로그램 개발 초석될 것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이동원 교수조승익 센터 팀장)는 국내 단일 기관으로 최초로 반월 연골판 이식 후 무릎 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미국 스포츠 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게재되며국제 학계에서도 큰 관심을 받았다.


논문 제목은 ‘Serial Changes in Muscle Strength and Dynamic Balance After Lateral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55 Patients’.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는 반월 연골판 이식술을 받은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무릎 근력과 동적 균형 능력의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수술 후 6개월까지는 근력과 균형 회복이 충분치 않았으나, 12개월이 지난 후에는 뚜렷한 개선이 확인했다특히 대퇴사두근의 최대 근력은 12개월 시점에서 수술 전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했으며동적 균형 능력 또 모든 방향에서 90% 이상 회복됐다.


대퇴사두근의 최대 근력은 수술 전 평균 90.8 N·m에서 6개월 후 85.6 N·m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12개월 후에는 124.0 N·m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동적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 Y-밸런스 테스트 결과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확인됐다또 Y-밸런스 테스트 종합 점수는 수술 후 6개월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2개월 후에는 95.4%까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승익 스포츠의학센터 팀장은 수술 후 6개월까지는 근력과 균형 능력 개선이 충분하지 않아이 시점에서 무리한 스포츠 복귀는 부상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반월 연골판 이식술 후 재활 과정에서 충분한 근력 회복과 균형 능력 향상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동원 정형외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환자들이 일상생활과 스포츠 활동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어떤 기능적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자료라며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반월 연골판 이식술 후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환자 개개인의 기능적 속도에 맞춘 치료 전략을 수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건국대병원 임상 연구 사업 지원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