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카카오 프린트

보도자료 배포

건국대병원 신현진 교수, 정밀한 사시 수술 위한 외안근 근력 측정 장치 개발

파일 파일이 없습니다.
등록일 2024-07-18 조회수 1219

건국대병원 신현진 교수정밀한 사시 수술 위한 

외안근 근력 측정 장치 개발

점안액만 넣으면 측정 가능환자별 맞춤수술 및 정확한 회복상태 진단가능


건국대병원 안과 신현진 교수와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기계전자공학과 강현규 교수 공동연구팀이 보다 정밀한 사시 수술을 위한 외안근 근력 측정 장치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사시 치료 수술 방법을 결정하고회복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보다 정밀한 사시 치료를 시행할 수 있게 됐다.


외안근은 눈에서 안구를 움직이는 6개의 근육으로 제3,4,6번 뇌신경이 외안근을 지배한다이 신경이 마비(마비성 사시)되면 눈이 특정 방향으로 움직여지지 않으면서 두 눈의 초점이 서로 맞지 않고사물이 두 개로 보이는 복시가 나타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한다.


마비성 사시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있어서 외안근의 근력 평가는 중요 요소다외안근의 근력이 남아 있는 정도를 파악해 수술 방법을 결정하고마비가 호전되면서 외안근 근력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마비된 외안근 근력이 어느 정도 남아 있다면 마비된 근육의 일부를 절제해 근육의 힘을 강화시키는 근절제술로 교정이 가능하고, 근력 저하가 심한 경우에는 다른 부위에 있는 근육 위치를 마비된 쪽으로 이동시키는 근전위수술을 시행한다.

 

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외안근 근력 측정 장치를 통해 확인한 결과 정상에서 눈을 좌우로 움직이는 수평 근육의 평균은 95g, 위 아래로 움직이는 수직근육의 평균은 91g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기준으로 마비 사시환자의 마비 정도와 회복 상태를 정량적으로 가늠할 수 있게 된 것. 또 마취 안약만 눈에 점안하면 측정 가능해, 외래와 수술실에서 모두 사용가능하다.

 

신현진 교수는 현재 임상에서 외안근의 근력을 손쉽고 정략적으로 측정할만한 장치가 없는 실정이라며 예술(Art)라 불리우는 사실 수술을 과학(Science)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수술자의 경험에 의존해 평가하던 요소들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기구 개발이 필요하다며 개발 동기에 대해 설명했다.

 

신현진 교수 연구팀은 외안근에 대한 생체역학적 연구를 통해, 사시 교정의 재현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현재 3가지 종류의 외안근장력 및 근력 측정장치를 개발해, 2건의 특허를 등록하고, 1건의 출원을 마쳤다.

SCI급 저널에 5편의 논문을 게재하고, 북미신경안과학회 ‘New Knowledge & Reserch’세션에도 소개돼 해외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았다.

 

신현진 교수는 지금까지의 사시 수술은 사시 각도만을 측정, 외안근의 장력이나 근력은 고려하지 않았다외안근 장력 및 근력 측정을 통해 사시 수술의 새로운 접근법을 만들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