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카카오 프린트

보도자료 배포

건국대병원 최용범 교수, 건선 환자서 인터루킨17F의 유전적 다형성 발견

파일 파일이 없습니다.
등록일 2020-01-29 조회수 1821

건국대병원 최용범 교수건선 환자서 인터루킨17F의 유전적 다형성 발견

건선 환자혈중 인터루킨 17F 높아

개인별 맞춤 치료에 기여할 것


건국대병원 피부과 최용범 교수가 건선 환자에서 면역반응 관련 유전자의 다형성을 확인해 발표했다.


건선은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건선의 발병은 유전적 면역 다양성과 관련이 깊다건선 발병 기전에는 제17형 보조 T세포(Th17, Type 17 helper T cell)가 매개하는 면역학적 경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 경로에는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관여하며인터루킨 17이 대표적이다.


최용범 교수는 연구 결과인터루킨 17F 유전자((IL17Frs763780)의 다형성이 정상인에 비해 건선환자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했다또 인터루킨 17F 다형성을 가진 환자들은 일반 건선환자들에 비해 인터루킨 17F의 혈중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최용범 교수는 생물학적 제제의 치료반응은 개인별로 차이가 나타나는데이런 인터루킨 17F 같은 면역관련유전자의 다양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최용범 교수는 이번 연구가 개인별 맞춤 치료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최근 효과적인 건선 치료제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생물학적 제제의 개인별 최적 치료제 선택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지난 12월 게재됐다.


*The IL17F His161Arg polymorphism, a potential risk locus for psoriasis, increases serum levels of interleukin-17F in an Asian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