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카카오 프린트

보도자료 배포

건국대병원 신진영·박혜원·김태은 교수팀, 대한비만학회 우수구연상 수상

파일 파일이 없습니다.
등록일 2025-03-20 조회수 337

건국대병원 신진영·박혜원·김태은 교수팀대한비만학회 우수구연상 수상

연구결과 임신 전 비만영유아 발달 지연 위험 높인다



(왼쪽부터 건국대병원 가정의학과 신진영 교수, 소아청소년과 박혜원 교수, 임상약리학과 김태은 교수 )


건국대병원 가정의학과 신진영 교수소아청소년과 박혜원 교수임상약리학과 김태은 교수팀이 제61차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학술대회는 2025년 3월 14~15일까지 서울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개최됐다.


연구팀은 임신 전 체질량지수(BMI)와 영유아 발달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로 임신전 과체중 및 비만이 자녀의 신체 및 인지행동 발달 지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내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가건강검진 결과와 영유아검진에서 시행하는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를 결합해 분석한 대규모 연구다.


임신 전 비만자녀의 발달 지연 위험 증가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출생한 약 25만 8,400(11%)의 영유아 데이터를 분석했다그 결과임신 전 BMI가 25 이상이면 대근육소근육사회성자기관리(자조, self-care), 인지언어 발달 영역에서 심층 평가가 필요한 위험 요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BMI 30 이상에서는 발달 지연 위험이 더욱 높아졌다.


반면임신 전 저체중(BMI 18.5 미만)의 경우 출생 후 2세까지는 발달 지연이 나타났지만이후에는 따라잡기 성장이 이루어져 발달이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비만 자체가 직접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

기존 연구에서는 임신 중 비만이 출생 전후 합병증이나 임신성 당뇨고혈압 같은 임신성 질환을 통해 자녀의 신체 및 인지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졌다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비만 자체가 영유아 발달 지연의 직접적인 위험 요인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밝혀냈다.

또한이러한 영향이 신생아기뿐만 아니라 영유아기까지 지속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가임기 여성의 적정 체중 관리가 자녀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필수적이라며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예방 및 관리 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