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카카오 프린트

보도자료 배포

소아청소년 수면장애, 청소년 본인과 부모 간 증상 정도에 대한 인식 차 커

파일 파일이 없습니다.
등록일 2022-02-28 조회수 1175

소아청소년 수면장애,

청소년 본인과 부모 간 증상 정도에 대한 인식 차 커


_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준 교수,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연정 교수


흔히 불면증은 성인들만 가지는 증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상당수의 소아 또는 청소년들도 다양한 종류의 수면장애 증상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불면증의 경우 소아 청소년에서의 누적 유병률은 약 10-20%정도에 달하는데 다시 말해서 10명 중 1명 이상은 이미 소아 청소년 시기에 불면증을 경험한다는 것이다불면증 이외에도 코골이(수면무호흡증), 과수면증(기면증), 사건수면(몽유병등이 이 시기에 흔히 진단되는 수면장애들이다.


수면장애의 진단은 일차적으로 병력 청취라고 불리우는 환자의 자세한 증상 보고로부터 시작되며필요시 야간수면다원검사나 수면잠복반복검사 등의 보다 정밀한 진단을 위한 추가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병력 청취 과정에서 소아 청소년의 경우 동반한 부모가 환자를 대신하여 증상을 설명해주는 경우가 흔한데 이때 환자 자신과 동반한 부모 사이에 증상의 정도에 대한 상당한 불일치가 존재할 수 있다즉 부모가 자녀의 증상을 부정확하게 인식하여 증상을 축소해서 이야기하거나 반대로 과장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특히 청소년기에는 대부분 부모와 독립된 방에서 잠을 자기 때문에 부모가 환자의 수면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 수 있다.


이 같은 증상 보고의 불일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준 교수와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연정 교수는 두 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 방문한 230명의 청소년의 심리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2022년 2월 대한의학회 공식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하였다논문에 따르면 우울장애양극성 정동 장애와 같은 기분 장애가 있는 청소년에서 특히 어머니가 평가한 수면장애 증상의 정도에 비해 환자인 청소년 자신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수면장애 증상의 정도가 더 높았다이는 기분 장애가 있는 청소년의 경우 불면증 등의 수면장애가 동반될 가능성이 높은데이러한 수면장애 증상이 어머니에 의해 잘 발견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불안장애발달장애의 경우에도 기분 장애의 경우와 비교하여 정도는 덜 하지만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하지만 어떤 정신과 진단을 받았는지에 따라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적대적 반항 장애나 품행장애 등 행동 문제가 주 증상인 청소년들은 도리어 어머니가 더욱 적극적으로 수면장애를 보고하였는데이는 이러한 환자들이 원활히 자신의 증상을 표현하기 어려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연구진은 심리적 문제를 가진 청소년들을 평가할 때 부모님으로부터 만 정보를 획득한다면 수면 문제가 충분히 밝혀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 본인을 대상으로 한 상세한 면담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