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건국대병원 전홍준 교수 "중년 이후 돌발적 망상·성격 변화…정신병 아닌 치매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조회수 : 188 등록일 : 2025-11-24
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건국대병원 전홍준 교수 "중년 이후 돌발적 망상·성격 변화

정신병 아닌 치매 초기 신호일 수 있어"


기억력 저하보다 먼저 행동·심리 변화가 나타나는 사례 많아… 조기 감별 진단 필요


중년 이후 갑자기 시작된 망상이나 성격 변화가 흔히 정신병적 증상으로 오인되지만실제로는 치매 초기의 신경퇴행성 변화를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많다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인클리닉을 맡고 있는 전홍준 교수는 최근 근거 없는 의심성격의 급격한 변화저장강박이 두드러질 경우 조현병이나 망상장애로 단정하기보다 치매 초기 변화를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치매는 일반적으로 기억력 저하로 시작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환자 중 상당수는 기억력 변화 이전에 행동·심리증상(BPSD)이 먼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다전 교수에 따르면 물건을 훔쳐갔다는 확신과 같은 망상평소와 다른 예민함이나 공격성필요 없는 물건을 반복적으로 쌓아두는 저장행동우울과 불안무기력 을 비롯한 감정 기복 등이 주로 관찰된다.


이 같은 증상은 조현병 등 도파민계 이상으로 설명되는 정신병적 장애와 겉으로는 유사해 보이지만 발병 양상과 경과가 다르며영상검사나 신경인지검사에서 초기 치매 변화가 확인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설명이다최근에는 뇌영상, PET-CT,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등 진단 기술이 발전하면서 치매 조기 진단의 정확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전 교수는 치매를 정신병으로 오인해 장기간 정신병 치료만 받는 경우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우려했다그는 치매로 인한 신경퇴행성 변화가 원인임에도 항정신병약 중심의 치료가 지속되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전 교수는 최근 기존 치매약과 다른 기전을 가진 항체치료제가 도입되면서 초기 진단의 임상적 가치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특히 항체치료제는 알츠하이머병에서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해 질병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중년 이후 갑작스러운 행동 변화는 단순 스트레스 반응이나 정신병적 장애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치매 초기 증상 가능성을 고려해 조기에 평가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증상 악화를 늦추고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BACK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