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병원 핵의학과,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을 위한 최신 AI 기반 뇌영상 분석 솔루션 도입
건국대병원 핵의학과는 지난 2일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진단과 치료 효과 평가를 위한 최신 인공지능(AI) 기반 PET(양전자단층촬영) 뇌영상 자동 분석 솔루션 ‘BTX BRAIN’을 도입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여러 질환 중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가벼운 건망증으로 증상이 시작돼 점차 언어 구사력, 이해력, 읽고 쓰기 능력 등에 장애가 생긴다. 따라서 정상적인 노화의 생리적 건망증과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기억장애를 초기에 증상만으로 감별 진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질환 초기부터 뇌 조직에 비정상적으로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축적돼 있다. 최근에 이러한 비정상적인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을 제거해 알츠하이머병 진행 속도를 늦추는 새로운 치료제가 도입됐다. 따라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적절하게 치료하기 위해서는 뇌 조직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질병 초기에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뇌 조직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찾아내려면 과거에는 침습적인 뇌 조직 생검을 시행해야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아밀로이드 PET 뇌 영상을 이용해 뇌 조직 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아밀로이드 단백질 여부를 뇌 조직 생검을 하지 않아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건국대병원 핵의학과에 도입된 BTX BRAIN은 AI 기반 PET 뇌영상 자동 정량분석 솔루션으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 조직에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얼마나 비정상적으로 축적됐는지를 정량화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 BTX BRAIN은 정량화되고 시각화된 PET 영상 분석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기존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정확한 초기 알츠하이머병 진단과 아밀로이드 단백질 제거 치료의 효과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 진단과 치료는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이뤄진다. 건국대병원 핵의학과 정현우 교수는 “아밀로이드 PET 정량분석 AI 솔루션 도입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의 정확성과 진료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 연구 경쟁력도 강화되었다”라고 말했다. 건국대병원 핵의학과 소영 교수는 “건국대병원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분들께 더욱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도 첨단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환자 중심의 정밀의학을 실현하겠다”라고 전했다.